본문 바로가기
임신에 관하여

임신 중기 트러블

by 킴블링 2023. 2. 19.
728x90

대표 트러블의 예방과 해소




요통이 올 경우 오래 서있지 않기
배를 내밀거나 몸을 뒤러 젖히지 않는다. 서 있거나 걸을 때도 등을 쭉 펴고, 한 자 세로 오래 서있지 않는다
의자는 너무 푹신하거나 등받이다 없는 것은 피하고등받이에 등을 바짝 붙이고 곧게 앉으며 30분 이상 앉아
있지 않는다. 인대가 늘어나 있으므로 푹신한 침대에서 자는 것은 좋지 않다. 단단한 매트리스로 바꾸거나

당분단 바닥에 요를 깔고 잔다. 잠잘 때는 물론 잠시 누워 쉴 때도 옆으로 눕는 것이 좋다.
통증이 심할 때는 몸을 따뜻하게 하면 도움이 된다. 잠들기 전 미지근한 물로 목욕해 체온울 올리고,

보온성이 좋은 잠옷을 입고 잔다. 임신부의 허리와 등의 근육이 튼튼하면 요통이 생기지 않는다.

수영이나 체조 등 꾸준한 운동으로 근육을 단련한다.



정맥류와 부종이 있을 경우 체중증가에 주의한다
단기단에 체중이 자주 늘면 정맥류가 생기기 쉬우므로 체중조절에 신경 쓴다. 몸에 달라붙는 옷이나 굽 높은 신발은 피하고, 다리를 꼬지 않는다. 항상 옆으로 눕고 쿠션, 배게 등에 다리를 걸쳐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한다. 몸을 항상 깨끗하게 하여 혈액아 잘 돌게 해 주어야 좋다 발끝으로 서는 운동을 하면 종나리 근육이 자극을 받아 다리 전체의 혈액순환이 잘된다. 

습관하하면 다리 부정을 줄일 수 있고 몸 컨디션 또한 좋아진다.



변비가 있을 경우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다
채소와 잡곡밥등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매 끼 꾸준히 섭취한다 소화가 안되면 국, 나물, 찜 등의 조리법으로 익혀 먹는다. 조직이 부드러워져 임신부도 무리 없이 소화할 수 있다. 아침식사 전에 화장실에 가는 습관을 들인다. 어렵다면 하루 중 가장 여유 있는 시간을 정해 배변을 규칙적우로 한다.
몸이 무겁더라도 뮤리가 안 되는 범위 내에서 가벼운 운동을 꾸준히 한다. 변비가 심할 땐 프룬 주스를 마시거나 임신 12주 이후에 사용 가능한 변비약을 복용해 변비 증세를 해소한다.



가려움증이 있는 경우 몸을 시원하게 한다
땀을 많이 흘리면 증상이 심해지므로 통풍이 잘되는 소재의 넉넉한 옷울 입어 몸을 항상 시원하게 유지한다. 목욕을 너무 자주 해도 증상이 심해진다. 하루 1~2회 가볍게 샤워하고 보습제를 바른다. 지나치게 뜨거운 물은 피하고 미지근한 물로 목욕하는 게 좋다.



불면증이 있으면 차를 마신다
취침잔에 하는 운동은 숙면을 방해하므로 삼간다. 오전이나 이른 저녁에 운동하고 휴식을 취한 후 잠자리에 든다. 취침 전 따뜻한 물로 가볍게 목욕하고 잠자리 환경을 쾌적하게 만든다. 신경을 안정시키고  숙면에 더움이 되는 대추차나 둥굴레차, 양파 달인 물 등을 준비해 두었다가 잠들기 1~2시간 전에 마신다.




배뭉침이 있으면  옆으로 누워 쉰다
같은 자세로 오래 서있거나 일을 하면 증상이 빈번해지므로 주의한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외부 압력에 의해서
도 나타난다. 편안하게 옆으로 누워 쉬는데, 되도록 자주 쉬도록 노력한다. 누워서 쉬었는데도 배뭉침이 나아지지 않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되면 병원에 가야 한다.



현기증이 나면 갑자기 움직이지 않는다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매일 적당한 스트레칭을 생활화한다. 앉았다가 갑자기 일어서는 등 급하게 동작을 바꾸면 증상이 심해지고,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등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모든 동작은 천천히 한다.
현기증이 느껴지면 그 자리에 앉아 머리를 밑으로 숙인다. 혈액이. 머리 쪽으로 흘러 한결 나아진다. 혼잡한 곳이나 통풍이 잘 안 되는 실내에 오래 있으면 현기증이 더 잘생긴다. 창문을 열어 실내공기를 자주 환기시킨다.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크게 심호흡한다.

728x90

'임신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휴기의 응급 상황  (0) 2023.02.22
막달 증상과 대처법  (0) 2023.02.21
예비 아빠가 할일  (0) 2023.02.17
유산 예방하기  (0) 2023.02.16
입덧 극복하기  (0) 2023.02.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