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에 관하여

제왕 절개의 모든 것

by 킴블링 2023. 3. 16.
728x90

예정 제왕절개를 하는 경우




역아이거나 옆으로 누워있다

임신 36~37주가 지나도 역아이거나 태아가 옆으로 누워있다면 제왕절개로 분만해야 한다. 엉덩이나 발이 머리보다 먼저 나올 경우 태아가 머리나 목을 다칠 수 있고, 머리가 산도를 통과할 때 탯줄이  머리와 골반사이에 끼어 일시적으로 산소공급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태아 머리가 산도에 끼어 뇌 손상을 입을 수 도 있으며, 뇌성마비나 신경마비 등의 후유증을 겪을 수 있고, 심한 경우 태아가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고 있다
임신 30주 이후가 되어도 태반이 밑에 있는 상태를 전치태반이라고 한다. 태반의 위치가 약간 낮은 경우부터 태반이 완전히 자궁구를 막은 경우까지 있는데, 태아가 나갈 입구가 막혀 있으므로 출혈이 많아져 분만이 어렵다. 또 태반이 자궁구에 가까운데 자연 분만을 하면 태반이 떨어진 후에 자궁 수축이 잘 안 되어 출혈이 심할 수 있다.



제왕절개를 했거나 자궁이 파열된 경험이 있다
이전에 제왕절개를 할 때 종절개를 했거나 자궁 파혈 경험이 있는 경우, 자궁 염증으로 심한 고열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자연 분만이 어렵다. 무리하게 자연분만을 시도하다 자궁이 수축을 이겨내지 못해 파열되면 심한 출혈이 일어나 산모와 태아모두 위험 할 수 있다. 심한 경우 태아가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성병이나 헤르페스 등에 감염되었다
헤르페스 등 산도에 감염 질환이 있는 경우, 출산 전까지 완치하면 문제없지만 출산 예정일이 되어도 진행 중이면 자궁경부나 질에 있는 균이 태아에게 옮을 수 있다.



자궁근종 수술 경험이 있다
이 경우 자연분만을 하면 분만 도중 자궁이 파열돼 태아와 산모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수술한 의사에게 근종 위치나 자궁을 얼마나 절개했는지 등의 정보를 담은 소견서를 받아 분만을 맡은 의사에게 미리 보여주고 분만법을 결정해야 한다.




내과 질환이 심하다
산모가 평소 선천성 심장병이나 천식 같은 내과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라면 자연분만의 산고를 견디기 힘들다. 담당의사가 자연분만을 권유한다면 먼저 시도해 보고, 진통을 못 견딜 정도이거나 힘을 주지 못해 분만이 어려운 상황이면 즉시 제왕절개를 한다. 갑상샘 질환이나 당뇨를 앓고 있는 경우에는 담당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후분만법을 결정한다.




심각한 임신중독증이다
산모가 임신중독증을 앓는 경우 태아의 몸집이 해당 주수의 다른 태아보다 3~4주 정도 작은 편이다. 임신 기간 동안 태아에게 제대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분만 중 태아가 위험에 빠질 확률 또한 높아 대부분의 예정일보다 앞당겨 유도분만을 진행한다. 그러나 촉진제릉 투여하고도 자궁 입구가 열리지 않을 때에는  제왕절개를 진행한다.




거대아 혹은 저체중아이다
태아가 4kg 이상의 거대아인 경우 분만 시 자궁이 파열될 위험이 높고 , 진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난산이 예상돼 제왕절개를 한다.  반대로 2.5kg 이하의 저체중아인 경우 자연분만을 견뎌낼 만큼 건강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왕절개를 한다.



허리 디스크가 있다
임신 전 허리 질환을 앓았거나 임신 기간 중 걷는데 장애를 줄 정도의 허리 통증이 있다면 , 자연분만 과정에서 허리를 구부리고 힘을 주면서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정도에 따라서 제왕절개를 결정한다.





응급 제왕절개하는 경우




태아가 산도를 빠져나오지 못한다
태아가 산도에 오래 머물러 있으면 탯줄이 눌려 태아에게 충분한 양의 산소가 공급되기 어렵다. 자궁구가 10cm 이상 열리고도 2시간 이내에 태아가 산도를 빠져나오지 못하면 긴급 제왕절개등의 조속한 조치로 태아를 산도에서 빼내야 한다.



태반이 먼저 떨어졌다
태아가 나오기 전에 태반이 자궁벽에서 떨어져 나가는 태반조기박리가 일어나면 모체와의 연결이 끊겨 태아가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아주 위험한 상황에 처한다. 이경우 10분 안에 태아를 꺼내지 않으면 생존할 확률이 거의 없다. 신속히 응급절개를 해야 한다.



산모의 골반에 비해 태아 머리가 크다
산모의 골반이 작거나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보다 큰 경우에는 자궁수축이 시작되어도 오랫동안 분만이 진행되지 않는다. 특히 태아머리가 산모의 골반보다 큰 아두골반불균형은 내진으로 예측하기 어렵고 진통이 시작되어야만 알 수 있어 자연분만을 시도하다가 발견하게 된다. 이 경우 발견 즉시 제왕절개를 한다.



탯줄이 태아보다 먼저 나온다
파수 전에 탯줄이 자궁구 가까이 내려오거나 파수 후 탯줄이 태아보다 먼저 나오면 태아에게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다. 자궁구가 완전히 벌어져 구 분내에 태아가 밖으로 나올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제왕절개로 태아를  꺼내야 한다. 탯줄이 너무 길거나 양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태아의 맥박이  떨어진다
갑자기 태아의 심장박동 수가 줄어들면 태아가 위험하다는 신호이다. 산모가 빈혈이 심하거나 고열이 있는 경우, 태아가 탯줄을 몸에 감고 있거나 태변을 본 경우, 태반조기박리 같은 경우에 나타난다. 자연분만을 하는 도중이라도 태아에게 이상증세가 보이면 바로 제왕절개를 해야 한다. 장시간 태동이 없어도 태아에게  이상이 생겼을 수 있으니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진통이 약하다
진통은 태아를 밖으로 밀어내는  원동력이다. 진통이 약하거나 도중에 약해지면 보통 촉진제를  주사해 유도분만을 시도하지만, 진통이 아주 미약하거나 촉진제를 맞고도 진통이 시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왕절개로 분만해야 한다. 진통이 약하면 자연분만에 성공했더라도 자궁이 잘 수축하지 않아 많은 양의 하혈을 하게 된다.



조기 파수되었는데 분만 진행이 더디다
양수가 미리 터진 경우라 하더라도 18시간을 남기지 않고 진통이 오면 자연분만을 할 수 있다. 원칙상으로는 조기파수 후 48 시간까지 진통을 기다릴 수  있지만, 일단 파수가 되면 질을 통해 태아가 세균에 감염될 위험이 높으므로 서둘러 유도분만을 하게 된다. 유도 분만을 하기 위해 촉진제를 투여한 후에도 진통에 전혀 진행되지 않으면  제왕절개를  해야 하는데 , 보통 양수가 터지고 18~24시간 이 지나면 수술을 시행한다



조기파수 시 주의할 점
조기파수 되었을 때는 자연분만 하더라도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패혈증(세균이 혈액 속을 돌아다니며 저혈압쇼크와 주요 장기 기능 부전을 초래하는 질병)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신생아 패혈증은 초기에 발견하면 쉽게 치료할 수 있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왕절개 과정




보호자가 수술 동의서를 작성한다
제왕절개는 전신마취를 하기도 하는 큰 수술이므로  과다출혈과 마취에 따른 합병증 등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술 전 남편이나 가족이 수술 동의서와 무통주사 동의서에 사인을 해야 한다.



수술 전 날 미리 입원한다
수술이 예정된 경우 출산 예정일 일주일 전으로 수술 날짜를 잡는다. 보통 수술 전 날 입원해서 심전도 검사와 혈액검사, 소변검사, 간 가능 검사, 초음파 검사등 수술에 필요한 검사를 받아 태아와 산모의 상태를 점검한다.
또 수술 중 위에 있던 음식물이 폐로 들어갈 경우 폐렴에 걸릴 수 있으므로 수술 8~10시간 전부터 철저히 금식을 해야 한다.



마취와 수술 준비를 한다
수술 전날이나 당일에  산모의 음모를 깨끗이 제거한다. 제왕절개 수술의 경우 치골부위의 음모까지 모두 제거해야 수술하기 쉽고 , 세균 감염의 위험도 적다. 척추마취나 경막 외 마취의 경우 마취를 먼저 한 후 수술 부위를 소독하고 수술을 진행하며, 전신미취인 경우 소독과 수술 준비를 마친 뒤 수술 직전에 삽관을 통해 마취제를 투여한다. 보통 마취과 전문의가 산모의 상태를 확인하고 산모의 의사를 물어본 뒤 마취 방법을 결정한다. 수술 뒤 약 이틀정도는 환자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도뇨관을 미리 끼워둔다.



복부를 10cm 정도 절개한다
소독이 끝나면 치골 위 3cm 정도 되는 지점을 약 10cm 정도 길이로 절개한다. 피부와 근육층 등 복부의 여러 층을 절개하며 , 절개방향에 따라 횡절개(가로)와 종절개(세로)로 나뉜다. 요즘은 수술부위 상처가 눈에 띄지 않도록 가로로 절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궁벽을 절개한다
복부를 절개한 뒤 복벽을 양쪽으로 벌린 다음, 태아가 들어있는 자궁벽을 절개한다. 다음 임신 시 자궁의 힘을 받았을 때  파열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자궁 아랫부분은 가로로 절개한다.



태아를 자궁에서 꺼낸다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막을 자른 다음 손을 집어넣어 태아 머리를 잡고 자궁밖으로 천천히 끌어낸다. 머리가 나오면 먼저 입과 기도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몸이 완전히 빠져나오면 탯줄을 자른다. 태반을 꺼내는 동안 신생아 응급처치를 한다.


 

수술시간은 40분~1시간 걸린다
자궁벽을 절개한 후에는 마취제가 태아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빨리 꺼낸다. 전신마취를 한 경우 10분을 남지 않도록 한다.



자궁벽과 복부를 꿰맨다
태반을 꺼내고 양수나 양막찌꺼기를 제거한다. 자궁 수축을 확인하고 문제가 없으면 봉합한다. 자궁 절개부를 봉합해 자궁을 제자리에 넣고 복벽을 층층이 꿰맨다. 근육과 지방층은 체내에 흡수되는 실로, 피부는 나중에 뽑는 실로 꿰매는데 봉합이 끝나면 철저히 소독해 감염을 막는다.



2시간 뒤 마취에서 깨어난다
산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은 수술 후 2시간 정도면 마취에서 깨어난다. 깨어나도 몽롱한 경우가 많은데, 수술 후 안정을 취하도록 수면제를 투여하기 때문이다. 회복실에 있으면서 마취에서 깨어나면 다리를 움직 여버고 기침을 해서 가래를 뱉어내야 한다. 이때 수술 부위가 몹시 땅기고 아프므로 두 손으로 배를 지그시 누르면서 기침을 하는 것이 요령이다.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를 요청해 복용한다. 수술 후 4시간 정도 배에 모래주머니를 얹어놓는데, 배를 압박해서 상처부위의 지혈을 돕기 위해서이다.



입원실로 옮겨 휴식을 취한다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입원실로 옮겨 수액과 항생제를 맞으며 휴식울 취한다. 가스가 나오기 전에는 물도 마실 수 없는 게 기본이지만, 요즘은 가스가 나오기 전이라도 의사의 판단에 따라 일찍 음식 섭취룰 권장하는 추세이다. 물처럼 묽은 미음을 먹으며 , 움직이기 힘드므로 1~2일간은 도뇨관을 빼지 않는다.




힘들어도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첫날은 수술부위의 통증이 심해 몸을 뒤척이는 것도 힘들어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서 보낸다. 하지만 통증이 심하더라도 침대에 누워 허리를 세우는 등의 간단한 운동을 해야 회복이 빠르다. 제왕절개를 했더라도 첫날부터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단 아기를 병실로 데려와 옆으로 누워 수유한다. 보통 젖이 잘 나오지 않는데(수술 후 3일이 지나야 초유가 나온다), 그래도 젖을 물려야 그 이후 모유수유가 원활해진다.



수술한 다음날 수술부위를 소독한다
출혈량이 많은 데다 염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수술 후 수액을 맞으면서 항생제와 진통제로 치료를 받고, 빈혈과 감염은 없는지 혈액 검사도 받는다. 보통 하루 정도 지나면 도뇨관을 제거하므로 자궁의 회복과장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가벼운 상체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은데, 조금이라도 움직여야 가스배출이 되어 식사를 할 수 있다. 수술 부위가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잘 소독하고 통풍을 시키며 , 수술 부위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술 후 24~48시간 이내에 가스가 배출된다
보통 가스가 배출되어야 물과 미음을 먹을 수 있다. 먼저 물부터 조금 마셔 갈증을 해소하고 미음, 죽, 밥 순으로 차츰 단계롤 높인다. 산후식을 제대로 먹을 때까지 변비로 고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일단 가스가 나오면 수분섭취를 충분히 해서 벼비를 예방한다. 미음으로는 산모에 세 충분한 영양 공급을 할 수 없으므로 수술 후 3일 동안은 수액을 계속 맞는다.

 

 

 

3일째부터 본격적으로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몸 움직임이 어느 정도 자유로워지고 도뇨관을 빼는 출산 후 3일째부터는 본격적으로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신생아는 2시간 30분 간격으로 수유하므로 이때마다 아기르 데려와도 되고,  유축기로 젖을 짜놓았다가 신생아실에 가져다주어도 된다.

 

 

 

4일이 지나면 가벼운 운동을 할 수 있다

회복을 파리 하기 위해 걷기 운동을 한다. 병실에서 왔다 갔다 하거나 가벼운 운동을 한다. 수술 부위가 약간 땅길 수 있으나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모유수유를 위한 유방 마사지도 열심히 한다.

 

 

 

5~7일째 퇴원을 한다

수술한 지 5일째가 되면 몸이 어느 정도 회복해 정해진 시간에 아기에게 젖을 물리고 기저귀를 갈아주는 등 아기를 돌보는데 참여할 수 있다. 개인차가 있지만 대게 수술 후 5일째 퇴원을 한다. 회복이 더딘 경우라도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7일째 퇴원을 하게 된다.

 

 

 

5일이 지나면 수술부위가 아물고 통증이 사라진다

수술 뒤 3일째부터 식사를 했기 때문에 배변감이 생기는데,  첫배변은 통증이 심하고 힘들지만 한번 성공하면 다음번에는 수월하다. 5~6일째가 되면 수술 부위가 아물고 통증이 사라져 몸이 편안해진다. 회복 수준이 순조로운 경우 수술 후 5~7일째 실밥을 뽑는다. 보통 퇴원 당일, 퇴원 1~20일 후 실밥을 뽑고 회복상태는 점검받는다. 퇴원 날짜가 가까워지면 산후조리 기간에 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이나 모유수유 방법 등을 간호사나 의사에게 물어본다. 병원에 있는 동안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이 좋다. 

 

 

 

 

 

 

 

728x90

'임신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만에 관한 궁금증  (1) 2023.03.20
대표 분만 트러블  (0) 2023.03.19
유도분만  (1) 2023.03.15
분만 방법 선택하기  (1) 2023.03.14
분만의 진행 과정  (0) 2023.03.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