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00

임신초기 트러블 출혈이 있는 이상 증세 아랫배가 땅기고 묵직하다 배가 땅기면서 출혈증세가 나타난다면 유산일 가능성이 높다. 임신 초기유산은 통증이 없는 경우도 많으므로 일단 소량이라도 출혈이 있다면 병원에 가서 전문이의 진찰을 받는다. 복통이 아주 심하다 자궁 외 임신인 경우 착상된 부위(난관이 가장 흔하다)가 자라는 태아의 크기를 견디지 못해 파열되면서 심한 하복부 통증이 나타난다. 이렇게 되면 출혈량이 많아 임신부 생명이 위험하다. 출혈 없이 갑자기 배가 아프고, 어지럼증이나 목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분비물에 혈액이 섞여있다 자궁질부가 헐거나 빨갛게 되면서 출혈이 있는 상태로, 자궁질부미란이라고 한다. 대부분 자궁 내 혈액순환이 활발해져 나타난다. 통증은 없으며 질 분비물에 혈액이 섞여 나 오거나 성관계 시.. 2023. 2. 13.
고령 임신의 모든 것 고령 임신의 기준 만 35세 이상이면 고령임신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산부인과학회는 고위험 임신부의 기준연령을 초산 여부와 관계없이 35세로 본다. 아이를 처음 가졌든 둘째 이상이든 35세부터는 고령 임신부로 분류하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고령임신부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모든 고령임신부가 고위험 임신부로 분류되지만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건강상태는 사람들마다 다르고 과거에 비해 영양상태와 의료기술의 수준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고령 임신부의 생활 수칙을 잘 지키고 필요한 검진을 재 때 받는다면 안전하고 수월하게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다. 고령 임신 시 조심해야 할 것들 임신합병증, 자궁 외 임신 가능성 고령임신부는 임신중독증이나 고혈압이 나타날 확률이 .. 2023. 2. 12.
임신 중 약물 복용 임신 중 약물복용 상식 약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임신 증 약을 먹으면 탯줄을 통해 약 성분이 태아에게 전달된다. 태아는 간과 위가 미숙한 상태라 약물의 대사나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약 성분 그대로 몸에 축척된다. 임신부의 약물복용이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임신 3개월 까지. 임신 15주 이후에는 태아가 약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줄어들므로 약물 복용으로 기형이 될 우려는 거의 없다. 그러나 태아의 장기기능에 영향을 미치거나 난청이나 뇌 발달에 문제를 일으키는 약물도 있으므로 섣불리 복용해서는 안된다. 임신 3주~8주에 약을 복용하면 태아의 심장 중추신경 눈과 귀, 팔과 다리가 완성되는데 영향을 미친다. 임신 8주~15주에 복용한 약은 태아의 입 부분과 성기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장기간 복용 금지 어.. 2023. 2. 11.
기형아 검사의 모든 것 태아 기형의 원인 유전 질환에 의한 기형 언청이나 선천성 심장병, 무뇌아등 선천적 기형은 비정상 유저인자에 의한 환경 요인이 작용해 나타나는데 몇 세대를 걸러서 나오기도 한다. 하나의 비정상 유저인자 때문에 생기는 기형도 있다. 선천적으로 효소가 부족해 대사물질이 뇌에 축척되어, 벙신박약증을 일으키는 페닐케논뇨증, 난쟁이, 혈우병, 자폐증 등이 이경우에 해당한다. 염색체 이상에 의한 기형 존체 태아 중 7%가 염색체 이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경 우 대부분 자연유산되고, 0.6%만이 염색체 이상으로 태어난다. 다운증후군이 대표적으로, 선천성 심장병등 장기기현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터너증후군은 여자아이에게만 나타나는데, 다 자란키가 140cm 미만이지만 지능은 정상이다. 그러나 2차 성장이.. 2023. 2. 10.
시시콜콜 육아일기Ep.5 오늘로 6개월 18일 된 우리 둘째. 첫 째와는 다르게 분유와 이유식을 너무 잘 먹는다. 첫 째는 신생아 때부터 잘 먹지 않아 마음고생 정신고생 몸고생까지 했는데 둘째는 주는 대로 뚝딱뚝딱너무 잘 먹어준다. 이유식 하는 시기라 첫 째때 너무 고생해서 안 먹을까 봐 노심초사했는데 혼자서범 보의자에 앉는 거 싫어하는 것 빼고는 이유식을 너무 잘 먹어준다. (의자는 차차 앉히는 연습이 필요해서 차근차근 할 계획이다) 내 다리에 앉혀두고 조금씩 떠서 주면 냠냠냠 입이 마중 나와 참새처럼 잘 받아먹는다. 너무너무 귀엽다. >_< 26개월 안 먹는 아기 첫 째를 키우고 있어서 먹는 것만 잘 먹어줘도 육아가 한결 편해진다는 걸 너무 잘 알기에 잘 먹어주는 둘째가 너무 고맙다. 육아는 마라톤이라 아직 차근차근해야 할 .. 2023. 2. 9.
임신부 첫 검사 받아야 하는 이유 지병과 감염여부를 확인한다 임신 징후를 느끼고 병원에 방문하는 시기는 대게 임신 6~7주 무렵이다. 이 시기에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심장박동을 확인하면 첫 산전 검사에 들어간다. 산전 초기 검사에서는 태아에게 미칠 수 있는 지병, 몇 가지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검사는 필수적인것으로, 받지 않고 지나가면 태아에게 병을 옮기거나 특정 질환을 평생 유전시킬 수 있으며, 심지어 태아가 사망하는 경우도 생긴다. 특히 매독과 풍진은 태아의 발육과 생존에 직접 영행을 미치며, 우리나라에서 발병빈도가 높은간염은 신생아에게 전염되므로 발견 즉시 치료해야 한다. 어떤 감사를 받아야 할까? 소변검사 임신을 하면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호르몬은 소변과 함께 배출된다. 소변검사를 통해 임.. 2023. 2.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