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00

신생아 키우기 궁금증 성기 관리법 소변만 봐도 엉덩이까지 닦아야 하나 기저귀를 차고 있기 때문에 소변만 봐도 엉덩이까지 전체적으로 젖는다. 특히 여자 아기의 경우 뒤쪽이 많이 젖으므로 소변을 볼 때마다 닦아 주어야 하는데, 매번 물로 씻어주기 어려우니 물티슈나 가재 손수건능 이용해 닦아준다. 기저귀는 보송하게 물기가 마른 뒤에 채운다. 여자아기의 경우 외음부를 벌려 안쪽까지 깔끔하게 닦아 주어야 한다. 물티슈를 사용한 휴에도 물로 씻어줘야 하나 물티슈는 방부제나 피부보호제가 들어있기 때문에 사용 후 거품이 나거나 끈적거릴 수 있다. 소변만 보았을 때는 물티슈로 가볍게 닦아내어도 좋지만, 대변을 본 뒤라면 뮬티슈로 용변 덩어리를 제거한 뒤물로 가볍게 씻어주는 것이 좋다. 이때 비누는 사용하지 않는다. 구강과 젖병 관리법 수유 .. 2023. 4. 9.
신생아 트러블 치료 치료해야 하는 증상 아구창 혀나 입천장, 뺨의 안쪽에 하얀 반점이 단단하게 달라붙어 그 밑의 피부 점막이 짓무르는 것이다. 아기가 아파서 보채고, 반점이 떨어져 나갈 때 피가 난다. 입안의 곰팡이가 장으로 넘어가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칸디다 알비칸스라는 곰팡이에 의해 감염되는데 미숙아나 몸이 허약한 아기, 면역기능이 저하된 아기에게 주로 생긴다. 입안이 깨끗하지 않아도 생긴다. 아기를 목욕시킬 때 가제 손수건에 물을 적셔서 입안을 잘 닦아주고 젖병과 젖꼮지를 철저히 소독하는 것이 예방법이다. 모모유수유하는 경우라면 엄마도 함께 치료받는다. 선천성 담도 폐쇄증 회백색 변과 갈색 오줌을 누며, 눈 흰 자위와 피부에 황달 증세가 나타난다. 담도는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연결되는 관으로, 선천성 담도폐쇄증은 이.. 2023. 4. 7.
신생아 트러블 모든 아기에게 나타나는 흔한 증상 구토 젖먹이의 구토는 아주 흔한 일이다.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곳을 '분문'이라고 하는데, 이 부위가 곧 잘 열리는 것이 구토의 원인이다. 음식을 섭취하면 음시굴이 식도를 통과한 다음 분문에 이르고, 이때 분문이 자연스럽게 열려 음식물이 위속으로 쏟아지는 것이 정상이다. 돌 이전의 아기는 분문 괄약근이 덜 발달해 분문이 쉽게 열리곤 한다. 신생아는 조통 하루 2~3회 구토를 하는데, 아기가 잘 자라고 체중도 정상적으로 늘고 있다면 별문제가 되지 않는다. 단, 아기가 젖을 먹지 않고 구토를 계속하거나 구토와 함께 설사를 하다면 변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암녹색의 태변 아기가 끈끈한 암녹색 변을 보면 엄마들은 아기가 아픈 것인지 걱정한다. 그러나 놀랄 필요는 없다. 이것이 .. 2023. 4. 6.
신생아의 비밀 아기 몸의 비밀 아기는 늘 목마르다 신진대사 속도가 어른보다 2~3배나 빠른 데다 많은 양의 수분을 배설하기 때문에 늘 물이 부족하고 목이 마르다. 어른의 몸은 52~65% 가 물로 구성된 반면, 아기의 몸은 75~80%가 물이다. 하지만 이것도 배설하는 양에 비하면 턱없이 적어 탈수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게다가 아직 신장 기관이 미숙해 어른처럼 몸 안의 수분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아기에게 수분공급은 매우 중요하다. 아기가 수분이 부족한 것처럼 보이면 새끼손가락을 입에 물려본다. 손가락이 촉촉하게 젖으면 괜찮은 것이고, 마른 것 같으면 젖이나 물을 먹여야 한다. 엉덩이뼈가 연약하다 아기의 엉덩이 살이 포동포동하고 말랑말랑해서 엉덩이뼈를 충분히 보호한다고 생각하지 만, 뼈(대퇴골)가 연골 형태로 .. 2023. 4. 5.
갓 태어난 아기의 몸 대표적 신체 특징 하루 30g씩 체중이 는다 갓 태어난 아기는 하루를 거의 잠으로 보낸다. 먹고 자는 일밖에 하지 않지만, 이것이 아기에게는 성장 발달의 가장 큰 힘이 된다. 신생아는 생후 일주일간 체중이 170~280g 정도 감소하는데, 태어날 때 가지고 있던 수분과 태변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에는 성장 속도가 빨라져 하루 30g 이상씩 증가한다. 1년 안에 4등신에서 벗어난다 갓 태어난 아기의 체중은 보통 3.0~3.7kg이다. 평균적으로 남자아기가 여자아기보다 무거우며, 평균 신장은 대략 50cm 전후이다. 머리둘레가 가스둘레보다 클 정도로 머리가 큰 사 등신이다. 몸통과 팔다리가 자라면서 신체는 차츰 균형을 잡아생 후 1년 동안 키가 28cm 정도 성장하고, 성인의 신체 비율에 가까워.. 2023. 4. 3.
산후우울증 극복하기 아기 낳고 우울해지는 이유 호르몬과 환경이 변화한다 여성호르몬은 임신 기간 동안계속 증가하다가 출산 후 48시간 이내에 90~95%가 감소한다. 이러한 호르몬 변화가 뇌신경전달 물질체계를 교란시키면서 우울한 감정에 빠져들게 하는 것이다. 갑상샘 호르몬감소도 영향을 미친다.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기분이 침체되는 것이다. 스트레스가 많고 잠도 부족하다 익숙하지 않은 육아에 대한 스트레스와 수면부족이 계속되면 우울해지기 쉽다. 출산을 겪은 산모의 몸은 정상이 아닌 데다 2시간에 한 번씩 엄마젖을 찾는 아기 때문에 숙면을 취할 수가 없어 만사가 귀찮게 느껴진다. 젖이 잘 나오지 않아 받는 스트레스, 육아나 집안일이 잘 되지 않을 때의 짜증과 저 절망감 등이 산모를 우울하게 만든다. 모든 관심이 아기에게만 쏠.. 2023. 4.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