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00

아기 피부 관리하기 아기 피부의 특징 약하고 민감하다 아기 피부는 성인피부에 비해 얇고 민감하다. 특히 신생아는 피부를 보호하는 각질층이 성인에 비해 30%아 얇고 세포 간격이 넓다. 연구에 따르면 만 3세 까지는 연력이 증가할수록 각질층의 두께 또한 두꺼워지고, 피부를 통한 수분 손실량이 줄어드는 경이 있다고 한다. 또 생후 2~3개월 이후부터 만 7세 까지는 성이 피부에 비해 피지선도 부족해 수분 손실이 더욱 커진다. 생후 2~3개월 동안에는 임신 중 엄마에게 전달받은 성호르몬의 영해로 피지 분비가 왕성하다. 면역체제가 불안정하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는 성인에 비해 피부질환이 쉽게 생긴다. 아토피 피부염 역시 면역체계 이상으로 생긴 것이다. 또 영, 유아는 체중에 비해 피부 표면적이 넓어 피부를 통해 각종 유해성분이 흡수.. 2023. 5. 9.
애착 형성 하기 애착 유형 이해하기 안정 애착 생후 12~18개월 아이를 대상으로 한 애착 실험에 거 애착이 안정 적으로 형성된 아이는 낯선 곳에 갔을 때 엄마가 옆에 있다면 편안하게 놀고 탐색을 한다. 엄마가 자리를 비우면 울거나 불안한 모습을 보이다가 엄마가 다시 나타나면 안정을 되찾는다. 가장 흔하고 가장 긍정적인 애착 유형으로, 아이가 금세 안정되는 이유는 엄마를 자신의 안전 기지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힘들고 불안할 때면 언제든 엄마에게 안겨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런 아이는 순한 기질을 타고났을 수도 있으나 , 엄마가 아이의 신포에 민감하고 일관성 있게 빈응한 경우가 많다. 불안정 저항 애착 엄마가 옆에 있어도 낯선 곳에서 놀거나 팀색하지 않고 엄마 곁을 떠나지 못한다. 엄마가 자리를 비우면 몹시.. 2023. 5. 6.
수면 습관 길들이기 아이의 잠 아이 잠과 어른 잠의 차이 사람의 수면은 크게 렘(rem) 수면과 논-렘(non-rem) 수면으로 나뉜다. ㅈ던자가 옅게 자면서 꿈을 꾸는 수면, 후자는 꿈꾸지 않고 깊게 자는 수면을 의미한다. 논-렘수면은 다시 4단계로 나뉘는데 1,2 단계가 비교적 얕은 잠이며, 3,4단계가 깊은 잠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하룻밤동안 논-렘수면의 1,2단계와 3,4단계랄 모두 거치며 , 이후에는 꿈을 꾸는 렘수면 단계를 겪는다. 이러한 잠의 단계가 4~6회가 지나가면 하룻밤이 지나간다. 어른은 이수면주기를 거치는데 90분 정도 소요되지만 , 영유아기 아이는 훨씬 짧은 60분마다 한 번씩 주기가 순환된다. 반면 꿈을 꾸는 렘수면 시간은 어른보다 훨씬 길다. 아이가 자다가 자주 움찔거리고, 몸을 뒤척이며, 깬 것.. 2023. 5. 5.
배변 훈련 시작하기 언제 시작해야 할까 혼자 걸을 수 있을 때 대소변을 가린다는 건 아이가 용변을 보고 싶다고 느낀 후 변기에 도착할 때까지 배변을 참았다가 배출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뇌신경이 충분히 성숙해서 이 모든 과정을 통제해야 한다. 아이가 혼자 걸을 수 있다면 뇌신경이 근육을 데재로 통제하고 있다는 뜻이므로 배변훈련을 할 준비가 됐다고 볼 수 있다. 소변 간격이 2시간 이상 일 때 2시간마다 소변을 본 다는 것은 방광에 소변을 저장할 수 있고, 서변이 마려워도 어느 정도 참을 수 있다는 걸 뜻하기에 배변훈련을 시작하기에 무리가 없다. 배변 의사를 표현할 수 있을 때 엄마가"쉬할까?"하고 물었을 때 아이가 스스로 알아듣고, 대소변을 보고 싶을 때 스스로 "엄마 쉬~"하며 제대로 의사표현을 할 수 있어야 .. 2023. 5. 4.
성장 발달의 기준 발달의 평균 생후 2~3개월, 목 가누기 얹혀 놓았을 때 스스로 목을 가누는 시기는 빠르면 1.7개월, 평균 2~3개월이다. 생후 3개월이면 엎어놓았을 때 고개를 거의 90도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생후 4개월이 지났는데도 앉았을 때 머리를 젖히거나 목을 가누지 못하면 진단을 받는다. 생후 3개월, 옹알이 보통 생후 3~4개월에는 옹알이를 하는데 생후 6개월이 지나도 소리를 내지 않거나, 엄마가 얼러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청각이나 발성기관을 점검한다. 생후 4~6개월, 뒤집기 빠르면 백일, 늦어도 생후 7개월에는 뒤집기를 한다. 뒤집기를 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가누는 능력, 몸을 회전하는 데 필요한 복부 근육이 발달해야 한다. 처음에는 목과 어깨 근육을 사용해 뒤집고, 익숙해지면 바로 누운 자세에서 엎.. 2023. 5. 3.
생후 19~24개월 돌보기 발달 포인트 뛰기에 익숙해지고 민첩해진다 방향을 바꾸며 자유자재로 걷다가 뛰기 시작하고 , 걷기와 뛰기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걷기도 한다. 뛰기 시작하면서 난간을 붙잡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고, 5cm 높이의 장애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뛰면 걸을 때보다 더 많은 근육, 특히 전신 근육을 사용하게 더신체가 고루 자극받는다. 심장박동이 빨라지면서 심장 주변의 근육도 튼튼해진다. 또 공간을 빨리 ,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것저것 탐색을 하게 돼 시각, 후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이 눈부시게 성장한다. 감정이 풍부해진다 좋다, 싫다는 단순한 차원의 감정이 다양하게 분화된다. 원하는 것을 이루면 기쁘고 , 생각대로 되지 않으면 화를 내는 것은 물론 , 엄마가 자기 말고 다른 아이를 안고 있으면 심하게.. 2023. 5. 2.
728x90